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존형과 신규형 좌측 볼록 흉요추/요추 척추측만증의 차이점에 관한 논문해석 리뷰

by 융기융 2025. 4. 21.
반응형

50세 이상 퇴행성 요추측만증에서 청소년기 특발성 측만증과 De Novo 측만증의 X-ray 분석 비교

Lenke 5C 타입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은 Cobb 각도가 30도 이상인 경우 진행 위험이 높으며, 고령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요추측만증 수술 건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 중에는 청소년기에 존재했던 기존 측만증이 고령까지 진행된 경우와 노화에 따라 새롭게 발생한 de novo 측만증이 혼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이 두 유형의 측만증을 X-ray 영상 지표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이들 사이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배경 및 중요성

퇴행성 요추측만증은 기존 측만증의 진행 형태(Pre-existing type)와 고령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De novo type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병력이 불분명한 경우, 이들 간 감별 진단은 어렵다. 따라서 X-ray 지표를 통해 각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고, 수술 시기와 정렬 패턴 차이를 밝히는 것은 향후 치료 전략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연구 목적 및 배경

이 연구는 50세 이상 요추 측만증 수술 후보자 중, 과거 AIS 병력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분하여 각종 방사선 지표(Cobb 각, L4 기울기, 회전 변형 등) 및 골반-척추 정렬(SVA, PT, PI 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유형의 변형 양상과 수술 시기 및 보상 메커니즘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 대상: 2008년 이후 좌측 볼록 요추측만증으로 교정 수술이 예정된 50세 이상 여성 환자 19명
  • 군 분류: 청소년기 측만증 병력이 명확한 경우(AIS, n=11), 불명확한 경우(de novo, n=8)
  • 측정 지표:
    • Cobb 각, L4 기울기, 몸통 이동(trunk shift)
    • 요추 전만(lumbar lordosis), 흉요추 후만(thoracolumbar kyphosis)
    • 시상 수직축(SVA), 골반 기울기(PT), 골반 발생도(PI)
    • 회전 변형(Nash-Moe 및 Aaro-Dahlborn 방식)
  • 통계 분석: Student’s t-test, 유의수준 P<0.05

주요 발견 및 결과

  • 평균 연령: AIS 54.0세, de novo 67.4세 (P<0.05)
  • Cobb 각: AIS 69.1°, de novo 48.9° (P<0.05)
  • L4 기울기: AIS 30.0°, de novo 21.6° (P<0.05)
  • Pelvic tilt: de novo 33.3°, AIS 23.5° (P<0.05)
  • 나머지 지표(SVA, lumbar lordosis, thoracolumbar kyphosis, PI)는 통계적 유의차 없음
  • 회전 변형: AIS에서 Nash-Moe 및 CT 회전도 모두 더 심함

실험 결과 요약

지표 AIS 그룹 De novo 그룹 유의성
평균 연령 54.0 ± 5.1세 67.4 ± 7.3세 유의함
Cobb 각 69.1 ± 14.9° 48.9 ± 12.8° 유의함
L4 기울기 30.0 ± 7.2° 21.6 ± 4.5° 유의함
Pelvic tilt (PT) 23.5 ± 8.7° 33.3 ± 8.4° 유의함
회전도 (Aaro-Dahlborn) 41.2 ± 12.1° 23.6 ± 9.0° 유의함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19명으로 소규모였으며, 모두 수술 후보자에 국한되었고 병력에 따른 분류가 주관적일 수 있는 점이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청소년기 측만증이 있었으나 기록되지 않은 경증 AIS 환자가 de novo로 분류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에는 MRI 기반 근육 분석 및 후향적 영상 리뷰를 포함한 다기관,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50세 이상의 퇴행성 요추 측만증 수술 대상자 중, AIS 기반 기존 측만증 환자는 더 어린 나이에 수술을 받으며, 더 큰 Cobb 각과 L4 기울기, 심한 회전 변형을 보인다. 반면, de novo 측만증 환자는 더 늦은 연령에서 수술 후보가 되며, 골반 기울기가 더 크고 시상면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보상이 더 크다. 이는 Lenke 5C 타입 AIS에서 젊은 나이에 조기 수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개인적인 생각

이 연구는 노년층 요추측만증을 진단하고 치료함에 있어 매우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회전 변형과 L4 기울기, PT의 차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판단 지표가 될 수 있다. de novo 측만증의 경우는 작은 만곡이지만 sagittal balance 유지에 더 큰 부담이 따르므로, 수술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 Cobb 각뿐 아니라 pelvic tilt나 근골격 보상 메커니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에는 근육 퇴행도나 균형 보상능력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주 묻는 질문(QnA)

  • Q1: AIS와 De novo 측만증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A1: AIS는 청소년기에 발생한 측만증이고, de novo는 성인 이후, 특히 노년기에 새롭게 발생한 측만증을 의미합니다.
  • Q2: 두 유형 간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A2: AIS는 더 큰 만곡과 회전 변형을 보이고, de novo는 더 늦은 나이에 나타나며 pelvic tilt가 더 큽니다.
  • Q3: 수술 시기는 두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요?
    A3: AIS는 상대적으로 젊은 시기에 수술을 받는 반면, de novo는 나이가 더 들어서야 수술 후보가 됩니다.
  • Q4: 왜 pelvic tilt가 중요한가요?
    A4: PT는 골반의 보상 능력을 반영하며, 시상면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Q5: 회전 변형은 수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5: 회전이 심할수록 수술 시 난이도가 증가하며, 더 정교한 교정이 필요합니다.
  • Q6: De novo 측만증도 Cobb 각이 클 수 있나요?
    A6: 드물지만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되면 AIS와 유사한 Cobb 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용어 설명

  • Cobb Angle: 척추측만증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각도 지표
  • L4 Tilt: L4 요추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곡률의 경향성을 평가
  • Pelvic Tilt (PT): 골반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 시상면 정렬의 보상지표
  • Pelvic Incidence (PI): 개인 고유의 골반 형태를 나타내는 불변의 해부학적 지표
  • Sagittal Vertical Axis (SVA): 머리 중심(C7)과 천골(S1) 사이의 수직 거리
  • Lenke 5C: 측만의 분류 중 요추 및 흉요추 중심 곡선이 좌측으로 볼록한 형태
  • Nash-Moe Grading: 척추 회전 정도를 평가하는 방사선 지표
  • Aaro-Dahlborn Method: CT를 기반으로 한 척추 회전 정량 평가 방식
  • Thoracolumbar Kyphosis: 흉요추 구간의 후만 각도
  • Trunk Shift: 체간의 중심이 중력선으로부터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나타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