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999년부터 2018년까지 대한슬관절학회 공식 학술지에 게재된 무릎수술 연구 동향: 서지학적 고찰에 관한 논문해석리뷰

by 융기융 2025. 4. 15.
반응형

지난 20년간 KSRR에 게재된 슬관절 수술 관련 원저 논문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본 리뷰에서는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간 한국슬관절학회 공식 학술지인 Kne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KSRR)에 게재된 슬관절 수술 관련 원저 논문을 계량서지학(bibliometric)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를 다룬다. 본 연구는 총 579편의 원저 논문 중 493편의 수술 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제목과 키워드, 초록을 바탕으로 논문의 주제를 총 7가지 수술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0년 단위로 시기를 나누어 각 수술 주제의 비율과 증가율을 분석하고, 한국 내 실제 수술 빈도와의 연관성도 비교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지난 20년간 슬관절 수술 연구의 흐름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연구 배경 및 중요성

계량서지학은 문헌을 수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특정 연구 분야의 흐름과 성과를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최근 정형외과 분야에서도 그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슬관절 수술 분야는 인구 고령화와 함께 연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특정 단일 저널을 중심으로 슬관절 수술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KSRR은 한국슬관절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지난 30년간 국내외 슬관절 수술 분야의 연구 흐름을 반영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KSRR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슬관절 수술 연구의 장기적 트렌드와 변화 양상을 조명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연구 목적 및 배경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 KSRR에 게재된 원저 논문 중 슬관절 수술 관련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고, 시간에 따른 연구 주제의 변화 양상을 계량서지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논문의 제목, 키워드, 초록을 중심으로 7가지 수술 주제로 분류하고, 10년 단위로 시기를 나누어 각 주제의 비율 변화 및 성장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국내 수술 빈도와 연구 트렌드 간의 유사성도 분석함으로써, 연구 주제가 실제 임상현장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KSRR에 게재된 모든 원저 논문 수집
  • 논문 제목, 키워드, 초록을 분석하여 수술 관련 논문을 선별하고 7가지 수술 주제로 분류
  • 두 시기를 10년 단위(1999–2008, 2009–2018)로 나누어 각 주제의 비율 및 성장률 분석
  • 실제 한국 내 슬관절 수술 데이터를 HIRA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연구 트렌드와 비교
  • 통계 분석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두 시기 간의 차이를 평가

총 579편의 원저 논문 중 비수술 주제의 논문 86편을 제외한 493편의 수술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TKA, UKA, HTO, 관절경 수술, 십자인대 수술, 재수술, 기타 수술로 분류되었다. 각 수술 주제에 대해 시기별 비율 및 증가율을 계산하였으며, 실제 국내 수술 빈도와의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주요 발견 및 결과

20년 동안 수술 관련 논문은 전체 원저 논문의 약 85.2%를 차지했으며, 시기별로는 전반기(1999–2008) 85.6%, 후반기(2009–2018) 84.8%로 큰 변화는 없었다. 주제별로는 TKA가 52.1%로 가장 많았고, 십자인대 수술(16.8%), 관절경 수술(11.2%)이 뒤를 이었다.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주제는 HTO로 149% 증가하였으며, UKA는 95.3%, 재수술은 33.9% 증가하였다. 반면, 관절경 수술은 47.6% 감소하였고, 십자인대 수술도 18.7% 감소하였다. 실제 수술 빈도 측면에서도 HTO와 UKA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는 연구 트렌드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실험 결과 요약

수술 주제 전반기 비율 (%) 후반기 비율 (%) 성장률 (%)
TKA 50.8 53.8 +5.9
UKA 2.3 4.5 +95.3
HTO 3.0 7.5 +149
관절경 수술 14.3 7.5 -47.6
십자인대 수술 18.4 15.0 -18.7
재수술 5.3 7.0 +33.9

이 표는 각 수술 주제별 논문 비율과 증가율을 나타낸다. 특히 HTO와 UKA는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관절경 수술은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는 실제 임상에서도 반영되고 있는 경향으로 보인다.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단일 저널에 국한되어 있어 전체 슬관절 수술 연구 흐름을 완전히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제목과 키워드 중심의 분석은 연구 내용의 깊이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에는 다수의 관련 저널을 포함한 확장된 분석과 함께, 저자 소속, 피인용 수, 연구 방법론 등에 대한 심층 분석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인공지능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동화된 주제 분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결론

KSRR에 게재된 슬관절 수술 관련 원저 논문 중 TKA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최근 10년간 HTO와 UKA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반면, 관절경 수술과 십자인대 수술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실제 한국 내 수술 빈도 변화와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본 분석은 향후 연구자들이 연구 주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HTO와 UKA는 향후 슬관절 수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영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개인적인 생각

본 논문은 특정 저널을 중심으로 한 계량서지학 분석의 훌륭한 사례로, 실제 임상 수술 동향과의 비교를 통해 연구 흐름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 특히 HTO와 UKA의 비약적인 성장세는 고령화 사회에서 관절 보존 수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관심이 연구로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관절경 수술이나 십자인대 관련 연구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은 임상 수요와 연구 자원의 재배치를 고민하게 만든다. 개인적으로는 향후 TKA 내에서의 세부 분류, 예를 들어 로봇 보조 수술이나 맞춤형 삽입물 등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정교한 연구 동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계량서지학은 단순한 숫자 분석을 넘어, 학문과 임상현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자주 묻는 질문(QnA)

  • Q1: 계량서지학이란 무엇인가요?
    A1: 문헌의 수와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는 학문입니다.
  • Q2: TKA가 가장 많이 연구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TKA는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슬관절 수술이기 때문입니다.
  • Q3: HTO 연구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3: 관절 보존 수술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HTO의 임상적 가치가 재조명되었기 때문입니다.
  • Q4: 연구 트렌드와 실제 수술 트렌드는 일치하나요?
    A4: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연구 주제는 임상 수요와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 Q5: 관절경 수술 연구가 줄어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이미 기술이 안정화되었고, 새로운 연구 주제가 많지 않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Q6: 이 분석은 해외 저널에도 적용 가능한가요?
    A6: 물론입니다. 동일한 방법론을 통해 다양한 학술지의 연구 흐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용어 설명

  • 계량서지학(Bibliometrics): 문헌의 특성을 수치화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학문
  • TKA(Total Knee Arthroplasty): 전 슬관절 치환술, 무릎 관절 전체를 인공 삽입물로 대체하는 수술
  • UKA(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부분 슬관절 치환술, 관절의 일부만 인공 삽입물로 대체
  • HTO(High Tibial Osteotomy): 고위 경골 절골술, 무릎 정렬을 교정하여 관절 부하를 줄이는 수술
  • 관절경 수술(Arthroscopy): 작은 절개를 통해 관절 내를 관찰하고 치료하는 최소침습 수술
  • 십자인대 수술(Cruciate Ligament Surgery): 전방 또는 후방 십자인대의 재건 또는 복원 수술
  • 재수술(Revision Surgery): 초기 인공관절 수술 후 문제가 생겼을 때 시행하는 재치환 수술
  • 논문 성장률(Growth Rate): 특정 주제 논문의 비율이 시간 경과에 따라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 HIRA(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한국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의료 데이터 제공 기관
  • SPSS: 통계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수학적 검정에 사용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