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대측 무릎 관절 가동 범위가 전체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 관절 가동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문 해석리뷰

by 융기융 2025. 4. 12.
반응형
Contralateral knee ROM as a predictor of postoperative ROM after TKA -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관절 가동범위 예측

서론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TKA)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에게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 수술 후 환자의 관절 가동범위(ROM)는 결과의 질을 판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수술 전 어떤 요인이 수술 후 ROM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본 리뷰에서는 반대측(비수술측) 무릎의 ROM이 수술한 무릎의 수술 후 ROM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논문을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연구 목적 및 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반대측 무릎의 ROM이 수술 후 수술 부위의 ROM과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과거 연구에서는 수술 전 동일 무릎의 ROM이 수술 후 ROM의 가장 강력한 예측 인자라고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대측 무릎의 기능 또한 수술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찰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9월부터 2019년 6월 사이 단일 외과의사에 의해 시행된 1차 TKA 환자 84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입니다. 양측 TKA를 받은 환자는 첫 번째 수술의 결과를 제외하고 두 번째 수술만 포함하였으며, 최소 4개월 이상의 수술 후 추적 관찰 데이터를 보유한 59명의 환자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 반대측 무릎의 수술 전 ROM과 수술한 무릎의 수술 후 ROM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선형 회귀분석 및 스플라인 모델을 활용하여 115°를 기준점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주요 발견 및 결과

연구 결과, 반대측 무릎의 ROM이 115° 이상인 경우 수술 부위의 수술 후 ROM과 강한 선형 관계를 보였습니다. 이때 평균 차이는 -7.44°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습니다(P < 0.0001). 반면, 반대측 무릎의 ROM이 115° 미만인 경우 수술 부위 ROM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로써 115° 이상의 반대측 ROM은 수술 결과 예측에 있어 의미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단일 외과의사, 단일 기관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표본 수가 비교적 적고, 추적 관찰 기간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다기관,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합니다. 향후에는 ROM 외에도 통증, 기능 점수, 환자 만족도 등의 요소를 함께 고려한 종합적인 예후 예측 모델이 필요합니다.

결론

반대측 무릎의 ROM이 115° 이상인 경우, 이는 수술한 무릎의 수술 후 ROM과 유의미한 선형 상관관계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TKA의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됩니다. 수술 전 진료 시 반대측 무릎의 기능 평가를 통해 보다 정밀한 수술 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 논문은 TKA 수술 전 환자의 평가 항목에 있어 간과되기 쉬운 반대측 무릎의 상태가 중요한 예측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양측 무릎에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수술 순서를 결정할 때에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겠습니다. 실제 임상에서도 환자의 양측 무릎 기능을 모두 고려한 평가와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QnA

반대측 무릎 ROM이 좋으면 수술한 무릎도 무조건 좋아지나요?

반대측 무릎의 ROM이 115° 이상인 경우 수술 후 ROM이 좋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이며 반드시 그렇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양측 무릎이 모두 안 좋은 환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나요?

양측 무릎이 모두 제한된 ROM을 보인다면, 이 기준은 적용하기 어렵고 수술 전 다른 예후 예측 인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결과는 어떤 수술 방법이나 임플란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나요?

본 연구에서는 수술 방법과 임플란트 종류에 따른 차이는 고려되지 않았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용어 설명

  • ROM (Range of Motion): 관절의 운동 범위를 의미하며, TKA 후 기능 회복의 핵심 지표입니다.
  • TKA (Total Knee Arthroplasty):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뜻합니다.
  • Flexion Contracture: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고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는 상태입니다.
  • MUA (Manipulation Under Anesthesia): 마취하에서 시행하는 관절 유착 해소 조작입니다.
  • LOESS Curve: 데이터의 추세를 부드럽게 시각화하는 통계적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