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내측 무릎 골관절염(medial knee osteoarthritis, OA)은 고령 인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걷기 불편감과 일상생활 장애를 초래합니다. 여러 임상 지침에서는 증상 완화 및 하중 분산을 위해 외측 웨지 깔창(lateral wedge insoles)을 권장하지만, 그 효과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제한적입니다. 본 연구는 외측 웨지 깔창이 내측 무릎 OA 환자의 증상과 구조적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무작위, 이중 맹검 대조군 임상시험입니다.
연구 목적 및 배경
외측 웨지 깔창은 무릎 내측 관절면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의료 보조기기입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왔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내측 무릎 OA 환자에게 외측 웨지 깔창과 평평한 대조 깔창을 12개월간 착용하게 하여 통증과 관절 구조 변화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참가자 및 평가자 이중 맹검의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입니다. 50세 이상으로 임상 및 방사선 소견상 경증에서 중등도 내측 무릎 OA로 진단된 200명을 모집하였으며, 참가자들은 5도 경사 외측 웨지 깔창 또는 평평한 대조 깔창을 12개월간 일상적으로 착용하였습니다.
주요 증상 결과(primary symptomatic outcome)는 11점 척도의 수치평가척도(NRS)를 이용한 지난 1주일간 무릎 통증 변화였으며, 주요 구조 결과(primary structural outcome)는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경골 내측 연골 부피의 변화였습니다. 부차적 임상 결과에는 통증, 기능, 경직, 삶의 질(SF-36)의 변화가 포함되었으며, 부차적 구조 결과는 연골 결손 및 골수 병변의 진행 정도로 측정하였습니다.
주요 발견 및 결과
1차 결과 분석에서 외측 웨지 깔창 그룹과 대조 깔창 그룹 간 전체 통증 변화(-0.3점, 95% 신뢰구간: -1.0~0.3), 경골 내측 연골 부피 변화(-0.4 mm³, 95% CI: -15.4~14.6)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또한 모든 부차적 결과들에서도 유의한 그룹 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결론
12개월간 외측 웨지 깔창을 착용한 결과, 내측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서 증상 완화 또는 구조적 진행 억제에 있어 평평한 깔창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이점을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본 연구는 외측 웨지 깔창의 일반적인 처방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개별 환자 맞춤 치료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임상 지침에서 자주 언급되던 외측 웨지 깔창이 실제로는 구조적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가 없다는 결과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무릎 관절염 환자를 진료할 때 통증 원인에 대한 정밀한 평가와 함께 무작위 임상시험에 근거한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QnA
Q. 외측 웨지 깔창이 무릎 통증에 효과가 없나요?
본 연구에서는 외측 웨지 깔창이 평평한 깔창에 비해 통증 완화나 구조 보존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Q. 깔창 착용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참가자들은 하루 종일 깔창을 착용하며 총 1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했습니다.
Q. MRI로 연골 상태를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MRI는 관절 연골의 부피와 구조적 손상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어, 깔창 사용의 구조적 영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도구입니다.
용어 설명
- OA (Osteoarthritis): 골관절염, 관절 연골이 닳아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
- 외측 웨지 깔창: 무릎 정렬을 조정하여 내측 부하를 줄이기 위해 경사 형태로 설계된 의료용 깔창
- NRS: 수치평가척도, 통증 정도를 0~10점으로 평가하는 도구
- MRI: 자기공명영상, 연골 및 연부 조직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진단법
- SF-36: 삶의 질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건강 설문지